레이블이 타이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타이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7월 17일 목요일

낯선 도시에서 걷기

도시는 많은 사람들, 많은 일들, 오래된 시간 등이 써 내려간 텍스트이다. 도시가 텍스트라는 점에서 도시는 읽기의 대상이 된다. 도시를 읽는 방법은 다양하다. 나의 경우 도시를 읽는 한 가지 방법은 그 도시에서 많이 걷는 것이다. 처음 가보는 도시의 경우 가능한 한 많이 걷는다. 아주 오래 전 중국 난징(南京)에 갔을 때 첫날 버스를 잘못 내려 무거운 짐을 맨 채 3시간 이상을 걸었던 적이 있다. 분명 실수였고 엄청나게 힘들었지만 그 덕에 난징의 지리는 어느 정도 익혔다. 다음날부터 시내를 다닐 때 머리 속에 지도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타이베이 시립도서관 가는 길
내가 걷기를 선호하는 것은 자동차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걷기에 익숙해진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된다. 차가 없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가는 방법을 먼저 알아보고 움직이게 되는데 그 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애매한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나 그냥 걸어가나 시간이 10분 정도 차이 밖에 안 날 것 같으면 그냥 걷는다. 타이베이에서 수훠기념종이박물관(樹火紀念紙博物館)을 갈 때 그랬다. 숙소에서 그곳까지 지도를 보니 10분 정도 걸어가서 지하철 한 정거장을 가서 또 10분 이상 걸어야 하거나, 지하철 한 정거장 가서 환승한 후 다시 한 정거장 가서 또 다시 10분 이상 걷는 길이었다. 에이, 이렇게 귀찮게 갈아타고 계단 오르락내리락 하느니 차라리 걷자. 이런 결심을 하게 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 이유는 차를 갖고 있지 않으니 직선거리로 가는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걷기이기 때문이다.

걷는 것은 이 곳의 상황들과 도시의 일련의 흐름들에 대해 감을 잡는 시간이다. 멀리 가기는 어렵지만 주변을 걷다가 먹을 것도 사서 먹고 카페에도 들어가 차를 한 잔 하면서 퍽퍽한 다리를 쉬어가다보면 어설프기는 해도 그곳 사람들의 삶의 자락에 슬그머니 포함되는 기분을 간혹 느끼게 된다. 그것이 그저 기분일 뿐일지라도.

물론 한 번에 다 읽어낼 수는 없겠지만 걷기는 최소한 그 도시의 결을 느끼는 시도로서는 중요한 성과를 가져다 준다. (단체 관광 혹은 패키지 여행의 경우 걸을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관광상품의 목적은 경관을 구경하는 데에 있지 사람들의 삶을 경험하는 데에 있지 않다. 특정 포인트를 향한 이동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이었는가, 그래서 짧은 시간 동안 얼마나 많은 '경관 포인트'와 쇼핑센터를 들렀는가만이 단체 관광 상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걷기의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그곳 사람들의 삶에 포함되는 기분’이란 느끼지 못한다. 그곳 사람들 역시 그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자동차나 버스, 오토바이 등의 탈것이 가기 위한 것이라면 걷기는 서기 위한 것이다. 서기 위한 걷기란 '무엇인가와의 만나기'의 다른 표현이다. 여행안내서에서 소개한 곳을 가기 위한 목적지향의 움직임이 아니라, 의도치 않았던 것을 발견하기도 하고 생각하지도 못했던 일을 하게 되기도 하며 어떨 때는 그저 머리를 식히기 위한 목적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바오짱옌 국제예술촌 입구

웨이룬 국수집
(위 사진은 최근 관심이 생긴 주제 때문에 국제예술촌이라 불리는 바오창옌(寶藏巖)에 갔다 내려오는 길에 우연히 발견한 국수집이다. 들어갈 때는 그저 배가 고파서 들어갔을 뿐인데 상당히 맛있었다. 직접 손으로 뽑은 면이라는 것이 확실했다. 나와서 간판을 보니, 역사가 꽤 된 집이었다.)

이런 경우처럼 그저 걷다가 배가 고파 들어간 음식점이 예상외로 맛있고 여행안내서에 소개되어 있지 않았지만 현지인들에게는 아주 호평을 받는 곳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기도 한다. 나의 경우 익숙하지 않은 도시에 왔을 때 맥도날드나 KFC는 피하려고 한다. 그런 곳은 한국에서도 쉽게 갈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걷다가 배는 너무 고픈데 적당한 식당을 만나지 못한다면 맥도날드가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닐 수도 있다. 현지화된 맥도날드를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은 이때뿐이니 말이다.




타이베이의 유명한 음식 중 하나는 소고기 탕면(牛肉麵)이다. 이곳은 타이베이 안내서에 나와 있는 곳이어서 꼭 가리라 마음먹고 간 곳이다. 정말 맛있다. 국물을 한 숟가락 먹는 순간, 혼자 감탄했다. 관광객들이 많이 가는 융캉제(永康街)의 융캉 소고기 탕면과는 비교가 안되는 맛이었다. 매년 있는 소고기 탕면 대회에서 상을 많이 받았다는데 나는 2007년에 상을 받은 두당이몐(獨當一麵)을 먹었다. 배부르게 먹고 나와 옆집에서 푸젠의 후추빵 파는 곳을 발견. 하나를 사먹고 소화를 시킬겸(한국에 돌아올 날이 며칠 안 남았던 터라 빨리 소화를 시키고 과일음료를 사먹을 작정이었다) 지하철 역의 반대방향으로 걷다가 서점 거리의 두 군데 작은 서점에서 필요한 책을 각각 한 권씩 찾아낸 것도 중요한 수확이었다.

땀흘리며 후추빵 만드는 청년들

물론 걷다가 비를 만날 수도 있다. 습도는 엄청나게 높고 온도는 35-36도 정도 되는 여름날의 타이베이에서는 흔하게 경험하는 일이다. 한 두 시간의 소나기가 더위를 잠시 식히니 차라리 낫다는 생각이 든다. (덥고 습한 사우나 기후에 익숙해서인지 타이베이의 친구들은 베이징과 같은 '건조한 여름'이 오히려 익숙하지 않다고 했다. 피부가 너무 건조해진단다.) 비를 만나면, 근처 카페에서 쉬어갈 명분이 생긴다. 에어콘으로 시원하게 '히야시'된 카페에서 커피 한 잔 하면서 지금까지 걸어오면서 본 것들을 기록할 시간도 벌게 된다.



여름의 타이베이는, 솔직히 걷기에 좋은 곳은 아니었다. 아침에 나갈 때 '현재기온 35도'라는 안내를 보는 순간, 출발하기 전 호텔 로비에 서있어도 숨이 턱 막히는 느낌이 든다. 그곳의 기온은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을 갖는다. 하지만, 2-3킬로미터 정도 되는 거리를 가는 동안 그늘을 찾아 걷고 문이 열린 상가에서 흘러나오는 막강한 에어컨 냉기에 잠시 잠깐 기뻐하면서 가다보면 지하철로 빠르게 이동했을 때 당연히 보지 못했을 여러 가지를 보게 되고 알게 되고 느끼게 된다.


특정한 목적지를 향해 가는, 특정 목적에 종속된 이동이 아닌, 무엇인가를 만나기 위해 기꺼이 설 수 있는 걷기란 도시를 읽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2013년 8월 6일 화요일

2013년 7월 타이완 타이베이(台北)와 타이중(台中)

타이베이와 타이중에 다녀온 것이 벌써 한참 되었다. 모든 것을 다 기록해 놓으면 좋겠지만 그러기에는 이미 시간이 너무 흘러버려서.... 사진들 위주로 간단하게만 정리해 놓기로. 


숙소의 비품들. 이런 아기자기함이 타이완의 즐거움 중 하나. 


타이베이 시먼딩(西門町) 부근 숙소 근처에 있던 카메라 거리. 


7월의 타이베이는 무척 덥다. 습도도 높고. 
하지만 걷다보면 무척 정감있는 거리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게 발견한 곳. 국립대만대학(国立台湾大学) 옆의 골목. 

즈텅루(紫藤盧)라는 이름처럼 마당에는 멋진 등나무가 있는, 약 100년 정도 된 찻집. <음식남녀>에도 등장한 집이라는데 그렇게 여러 번 본 영화에서 이 곳을 본 기억이 없는 걸 보면 영화를 제대로 보지 못한 듯. 차값이 약간 비싸기는 하지만 조용히 앉아 차를 마시는 여유 한 번 부려본다면 타이베이에서 거의 최고의 선택일 듯. 



아래 사진은 즈텅루 입국에 붙어 있던, 미국소 반대 스티커. (사진을 찍는 나의 얼굴도 비쳐 보이는데 거기에도 '금지' 표시가.......즈텅루는 나를 금지했던거야. ㅋㅋ)



원래의 계획대로 기차를 타고 타이중으로 이동. 타이베이에서 일반 기차로 약 2시간 반 정도 남쪽으로 내려오면 있는 도시. 타이중은 타이베이, 가오슝에 이어 타이완의 세 번째 도시. 지하철은 없고 버스노선이 아주 빽빽하게 잘 짜여져 있음. 물론 배차간격이 짧은 것도 있고 긴 것도 있고. 타이중을 소개하는 어떤 책에는 타이베이에서 사용하는 이지카드(Easy Card,悠游卡)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대부분의 버스에서 이지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타이중에 머물던 기간 동안 이지카드를 사용하지 못한 것은 단 한 번 뿐이었는데 그 버스는 루강에서 타이중으로 들어오는 시외버스였고 교통카드 자체를 쓸 수 없던 버스. 그 외에는 아무 문제없이 이지카드를 사용할 수 있고 타이베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세븐일레븐 등의 편의점에서 충전 가능. 

타이중에서 감탄했던 것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시내에서 8km 이내 거리는 버스를 무료로 탈 수 있다는 것. 개인차량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활성화하려는 정책의 소산인 것 같은데 버스를 타는 입장에서는 아주 편리하다. 나중에 타이베이에 돌아와 MRT에서 사용내역 확인해보니 실제로 타이중에 있는 동안  28차례 정도 버스를 탔는데 그 중에서 좀 먼 곳을 갔던 세 번 정도만 요금이 빠져나갔고 나머지는 모두 0원!!! 버스카드만 있고 노선만 잘 확인하면 시내에서 움직이는 것은 거의 공짜로 움직일 수 있다는 이야기. 

타이중에 있는 동안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에 꽤 익숙해졌다. 낮 동안 덥고 습하다가 저녁쯤 되면 거센 소나기가 내려 낮동안의 많은 습기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확실하게 보여준다.

타이중 도착 첫날, 비가 그친 후 보게 된 쌍무지개.



타이중에서 발견한 공차. 그런데 다른 과일차들 브랜드가 너무 많아 그곳의 공차를 마셔볼 기회는 없었다. 큰맘 먹고 전주나이차(珍珠奶茶, 버블티)를 마시러 간 날은 전주(펄)가 다 떨어졌다고 해서 포기. 개인적으로는 Mr.Wish의 복숭아차와 CoCo's의 자몽주스가 정말정말정말 좋았다. 가격은 한국돈으로 한 잔에 대략 1500원 정도. 



아래 사진은 파인애플주스(한화 약 1200원 정도). 리즈와 망고. 



타이완의 가장 대표적인 청핀서점(诚品书店). 타이베이와 타이중 (그리고 심지어 상하이까지) 곳곳에 있지만 타이중 중여우백화점(中友百货)에 있던 분점이 가장 쾌적하고 조용했다. 






5집 건너 하나씩 사원이 있다는 루강(鹿港). 이 이름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의 유명한 대만식당 프랜차이즈 鹿港小镇을 통해 들어봤던 바로 그 이름(베이징이나 상하이에 있는 한국인들에게는 사슴식당 혹은 벨라지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음). 실제의 루강이라는 곳은 매우 작은 도시이고 사원이 정말 많다. 타이베이에 있는 용산사보다 더 오래된 같은 이름의 절이 있는 곳. 아래 사진은 짝을 맺어준다는 월하노인을 모신 사원. 


루강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불상 및 각종 사원용 물품을 제작하는 목공소들. 





 타이중 외곽의 '무지개마을'(彩虹眷村).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곳에서 보시길(중국어).


무지개마을에 오는 사람들에게 마을 안내도 하고 노래도 하고 사진도 찍어주고/찍혀주는 아이언맨 청년.




그 유명한, 동해대학 안의 루스 채플.





중국 본토에는 마오 시대를 기억하려는 '붉은 식당'이 있다면, 대만에는 국민당 정권 초기(그리고 근대화 초기)를 기억하려는 식당이 있다. 식당 안은 초기 근대화 시기의 모습으로 꾸며놓았다. 두 번째 사진은 당시의 '공중도덕' 계몽 프로젝트의 흔적들.



식당의 2층은 근대화된 극장처럼 꾸며 놓았는데 그곳에 있는 <사망유희> 포스터. 




일상을 모두 정지시킨 태풍. 태풍으로 고속철과 철도는 거의 반나절 동안 모든 운행이 취소되었고 식당들도 대부분 문을 닫았다. 







타이중의 번화한 거리 중 하나인 차오우다오(草悟道)의 한 건물. 건물의 옆면에는 각종 식물들이..... 그리고 건물 안에는 역시 청핀서점이 있다. 주말이면 건물 앞 광장에서는 동물보호협회에서 나와 유기견들을 새 가족의 품으로 보내는 행사를 한다.


차오우다오는 다양한 예술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우유팩 모양의 전시물들과 예술제 안내판.






이곳에 있는 재미있는 카페. Robot Station. 온통 로봇 모형과 장난감들로 가득 찬 곳. 







차오우다오 근처에서 타이중 사람들이 많이 찾는 빙수집. 그저 수박, 멜론, 망고 등의 과일에 우유 얼음 올리고 연유 약간 뿌리고 달콤하게 졸인 검은찹쌀을 조금 올릴 뿐인데 정말 맛있다. 한 그릇에 한화 약 2800원 정도. 개인적으로는 타이베이의 三兄妹나 아이스몬스터, 스무디 등에 비해 훨씬 괜찮았던 곳. 강추!! (먹느라 바빠서 실제 빙수 사진은..... ㅎㅎ)


타이중에 있는, 케익과 펑리수, 태양빵 등으로 유명한 日出. 그곳의 여러 분점 중 하나인 宮原眼科. (이곳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블로그로 대신함. 역시 중국어) 안과는 아니고 1층은 아이스크림 테이크 아웃, 2층은 약간 비싸지만 식당. 이곳에서 먹은 아이스크림. 8가지 아이스크림이 포함되고 파인애플로 조각한 봉황(?)이 서 있다. 봉황(?)의 부리는 빨간 고추를 잘라 끼운 것이니 먹지말라고 아이스크림을 서빙하는 직원이 친절하게 말해줌. (최근 이곳은 다른 컨셉으로 공사를 했다는 소문이.....)





아래 사진이 이 포스팅의 마지막. 
맑은 날의 타이중. 왼쪽 아래에 보이는 곳이 유서깊은 타이중 기차역.